-
탄소중립녹색성장이라고 들어보셨나요? 탄소중립녹색성장 캠페인에 참여하고 1만 원 모바일 문화상품권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도 이야기했듯 탄소중립 실천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냉장고 속 음식 줄이기를 통해 모바일 문화상품권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탄소중립녹색성장이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탄소중립녹색성장이란?
인간 행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고 이미 배출된 온실가스는 산림을 통한 흡수나 CCU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을 활용해 감소시켜야 합니다.
온실가스 감소를 실천하여 인간이 배출하는 탄소의 양을 '0'에 가깝게 만드는 것이 탄소중립녹색서장의 목표입니다.
또한, 에너지와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 연구 및 개발에 힘써 경제 성장과 환경보호를 동시에 이루어내야 합니다.
탄소치워리더란?
일상생활속에서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행동으로 '탄소를 치우는(청소)' 행동을 서로서로 독려 및 응원하는 '치어리더'의 합성어를 표현한 캠페인입니다.
분기별 실천 주제 선정
분기별로 선정된 주제에 맞게 탄소중립 실천을 하시면 됩니다.
- 2023년 6~7월 주제 : 안 쓰는 물건 치우기
- 2023년 9~10월 주제 : 냉장고 속 치우기
- 2023년 12월 주제 : 미정
탄소치워리더 캠페인 참여방법
일정 : 2023년 9월 25일(월) ~ 10월 27일(금)
경품 : 모바일 문화상품권 10,000원권 200명(무작위 추첨)
당첨자 발표 : 2023년 11월 3일(금) 캠페인 참여 게시판 발표 예정
캠페인 실천하시고 모바일 문화상품권 1만원을 받아가시기 바랍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손쉽게 신청해 보시기 바랍니다.
탄소중립 캠페인 참여하기
냉장고 속 치우기
음식이 상하지 않기 위해 냉장고의 냉장.냉동 기능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가전제품 중 소비전력이 높은 제품입니다. 소비전력이 높은 제품인 만큼 온실가스 배출량도 높은데요. 냉장고 속 치우기를 통해 전기세도 절약하고, 탄소중립도 실천하면 냉장고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냉장고 탄소중립 실천 방법
- 냉장.냉동고 적정용량을 유지하기 위해 음식물은 먹을 수 있는 만큼만 구매합니다.
- 냉장실의 온도는 3~4도, 냉동실의 온도는 영하 18~20도 적정온도를 유지합니다.
- 냉장실은 냉기 순환이 잘 되도록 60%만 채우고 냉동실은 냉기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꽉 채웁니다.
-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식재료를 메모한 후 냉장고 외관에 부착하여 냉장고 문을 여닫는 횟수를 줄입니다.
사진 출처 :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끝맺음
탄소중립녹색성장 실천 캠페인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인간 활동으로 인한 탄소배출이 일상생활에서 일어나고 있죠. 이로 인해 기후 이상 변화 등으로 탄소배출의 악영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힘을 합쳐 탄소 감축을 위해 다양한 실천을 한다면 탄소 감축 뿐아니라 경제적 효과까지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탄소중립녹색성장 탄소중립녹색성장 탄소중립녹색성장 탄소중립녹색성장 함께 보면 좋은 글
탄소중립실천포인트 가입하고 현금 7만원 받자!
탄소중립실천포인트 가입하고 현금 7만 원을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현금이나 탄소중립실천포인트를 적립하여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스타벅스, 이마트, 편의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
information.pinkdirectory.co.kr
탄소중립실천포인트로 스타벅스, 이마트, 요기요 등 적립 받자!
탄소중립실천포인트를 스타벅스, 이마트, 요기요, 편의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걸 아시나요? 탄소중립실천포인트는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국민들이 탄소중립 생활 실천활동을 펼치는 것입
information.pinkdirectory.co.kr
한전 에너지 캐시백 '전기세 돌려받자' 바로 신청하기!
요즘 물가 및 전기세 같은 공공요금이 많이 인상되고 있습니다. 한전에서 시행하는 에너지 캐시백을 신청하고 전기세를 돌려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전기사용량이 줄어들면 절감률에 따
information.pinkdirectory.co.kr